[일기가 중단된 이유: 미니멀 라이프]

일기를 쓴 역사는 오래되었다. 왜 일기를 쓰는지에 대한 고찰도 했었다.
그런데 요즘은 일기를 잘 적지 않는다. 하루의 기록이라는 측면은 탁상 다이어리에 기록이 되고, 나 자신과의 대화라는 측면은 블로그 글쓰기가 대체하고 있다.
탁상 다이어리는 10년째,
티스토리 블로그는 21년부터 4년째.
위 둘은 초등학교 때부터 써 온 일기를 대체하고 있는데, 다른 하나는 대체를 못한다. 일기가 하는 "스트레스 해소"의 역할이다. 스트레스가 일기를 적지 않아도 될 만큼 관리되고 있다는 뜻이겠다.
그러나, 다시 곰곰 세밀하게 고찰해 보면, 스트레스 관리 능력이 향상된 것도 분명히 맞지만 하나 더 이유가 있다.

미니멀 라이프.
사람관계를 정리했다. 관계나 대화에서 오는 정신적 불편함은 일기를 덜 쓰게 하였다. 반성과 이해의 시간이 사라졌다. 일기에 남아야 할.
생활 자체를 단순화시켰다. 물건도 정리하고 생활 동선도 간략하게.
결정적으로 우리 정여사를 케어하던 어려움의 사라짐 (어려움인 줄도 몰랐는데, 가시고 나니 그 무게가 느껴진 돌봄의 시간)
이 세 가지가 사라지고 나니, 일기를 통해서 나 자신과 대화할 일이 줄어들다가 아예 없어지다시피 되었다.
하여, 일기는 중단되어 있다. 하지만 블로그 글쓰기는 계속해 볼 요량이다. 일기도 전과 다른 성격으로 자기 성찰의 시간을 위하여 다시 시작할지도 모른다. 하여, 일단 요즘은 일기가 중단되어 있다 삶이 평온하다는 뜻이다.

지성의 고백은 전설의 글쓰기를 잉태하고
[지성의 고백은 전설의 글쓰기를 잉태하고]글쓰기 습관은 일기를 통하여 이루어졌다. 일기 습관은 초등학교 때 선생님들이 가르치는데 나의 시작은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이다. 담임 선생님은
serendipity-of-soul.tistory.com
전설님은 왜 글을 쓰나요? 그것이 알고 싶다
[전설님은 왜 글을 쓰나요? 그것이 알고 싶다] 사람들은 왜 글을 쓸까? 각자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. 글쓰기의 시작은 일기이다. 일기를 쓴 목적은 [자신을 객관화하는 과정]이었다. 객관화를 하다
serendipity-of-soul.tistory.com
자기와의 대화인 일기쓰기: 의도하지 않았지만 살면서 제일 잘한 일
자기와의 대화인 일기쓰기: 의도하지 않았지만 살면서 제일 잘한 일
[자기와의 대화인 일기 쓰기:의도하지 않았지만 살면서 제일 잘한 일] 그것은 뭐니 뭐니 해도 일기가 아니었을까. 처음에 어렸을 때에 학교 숙제로 시작했지만 그것이 일상화되어 있었다. 초등
serendipity-of-soul.tistory.com
'Total RECAL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의 지우개 (0) | 2024.08.10 |
---|---|
화양연화 반대의 시간은 언제였을까?: 미결정의 시대/정치바라기의 시대 (0) | 2024.08.10 |
연필 깎기가 좋았다 (0) | 2024.08.04 |
여행 친구, 워카 같은 등산화 (0) | 2024.07.28 |
등산화: 이별할 때가 다가온다 (0) | 2024.07.27 |
댓글